눈충혈 원인과 안약, 눈충혈 됐을때 증상


저는 살면서 눈과 관련한 질병은 거의 겪어보지 않은 사람인데요. 라식수술 외에는 아직까지 각막 근처에 손도 댄 적 없는 사람인데, 처음으로 눈충혈 증상을 겪어 봤습니다. 아래에서 좀 더 자세히 얘기하겠지만 이렇게 갑자기 눈충혈 됐을때 어떻게 해야할지 잘 모르시겠다면 제가 찾아 본 다양한 눈충혈 원인과 안약 사용, 증상 등을 참고하셔서 민첩하게 대처하시면 좋겠습니다.

눈충혈 원인 안약, 눈충혈 됐을때 증상


눈충혈 원인과 증상 종류

*참고로 일반적인 눈충혈은 눈 표면의 혈관이 넓어지면서(팽창) 눈에 과잉 혈액을 가져와 눈이 적색 또는 충혈된 모습을 보인다고 합니다.

눈충혈 원인의 일반적인 요인으로는,

먼지, 햇빛, 눈을 비비는 행위 등 눈의 자극에서 오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그 외에도 컴퓨터, 스마트폰 같은 전자기기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누적된 눈의 피로,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꽃가루 등 외부의 자극, 찔리거나 다친 외상, 자외선 노출, 그리고 안구건조증, 결막염, 결막하출혈, 녹내장, 대상포진, 난시 등의 질환이 원인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비교적 장시간 계속된다면 진료가 필요하겠습니다.

좀 더 살펴보겠습니다.

  • 감염
    • 결막염 : 바이러스, 세균, 알레르기 등이 원인으로 결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 눈 충혈, 가려움, 눈물, 눈곱 등 증상
    • 포도막염 : 안구의 흰자위 안쪽에 있는 막인 포도막에 발생하는 염증, 눈충혈, 통증, 시력 저하 등 증상
    • 각막염 : 눈의 앞쪽 투명한 부분인 각막에 발생하는 염증으로 눈충혈, 통증, 눈물, 흐릿한 시력 등 증상

  • 알레르기 : 꽃가루, 진드기, 애완동물 비듬 등에 알레르겐으로 발생하는 알레르기 반응입니다. 눈충혈과 가려움, 눈물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건조함 : 눈물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건조함인데, 눈충혈, 가려움, 쓰림, 피로감 등 증상
    • 자극 : 연기, 먼지, 화학 물질 등의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 있고, 눈 충혈과 가려움, 눈물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심각한 원인으로는, 녹내장(안압이 상승하여 시신경 손상을 유발하는 질환, 눈충혈, 통증, 메스꺼움, 구토, 흐릿한 시력 등), 모양체 폐색(혈전이 눈의 혈관을 막아 발생하는 질환, 급격한 시력 손실, 통증, 시야 장애 등 증상), 망막 발리(망막이 망막 색소 상피층에서 떨어져 나오는 질환으로 급격한 시력 손실, 빛 번짐, 시야 장애 등 증상) 등이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눈충혈 증상 종류 : 가려움, 눈물, 통증, 이물감, 흐릿한 시력, 광과민증, 눈곱, 부종 등

그리고 봄,가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 우려가 있죠.

자외선 노출로 인해서도 눈충혈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자외선은 안구 표면 뿐만 아니라 수정체, 망막까지 도달할 수 있고, 장기간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 눈의 노화를 촉진시켜 백내장, 망막 등 안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각막의 외부 층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되면 각막화상(광각막염, 설맹)을 입을 수 있는데, 안구 통증, 눈부심, 충혈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따라서, 강한 자외선 아래에서 외부 활동을 해야한다면 차단 기능이 있는 안경이나 선글라스로 눈을 보호하는 예방 자세도 취해야 하겠습니다.

그리고 눈을 오랫동안 사용하거나 자외선에 노출 된 경우에는 눈을 휴식 시키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은데, 요즘에는 아이마스크, 온찜질 마스크 같은 것도 잘 나와 있으니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일단 저의 경우를 되돌아보면 사무실에서 컴퓨터 작업을 주로 하는데 어느날 갑자기 오른쪽 눈이 따끔거리는데 살짝 아픈 느낌이 있었는데, 평소에도 안구건조증으로 자주 사용하는 일회용 눈물액을 몇번 넣고 말았습니다.

그런데 이후로도 잠자기 전에도 조금씩 뭔가 각막이 따끔거리며 아픈 통증이 있긴 하더라구요. 하지만 워낙 평소에도 눈을 혹사시키는 사람이라(장시간 컴퓨터 사용, 핸드폰 사용 등) 일시적이라 생각하고 지나갔는데, 다음날 아침에 일어나서 보니 눈 흰자에 빨간색 충혈 자국이 생긴 것입니다. 근데 그냥 피곤해서 눈이 충혈됐다고보기에는 그면적이 크더라구요.

이후로도 0.5mm정도의 붉은 점이 사라지지 않아서 겁나서 회사 근처 안과에 가서 진료를 받았는데, 이런 적이 처음이냐며 네 그렇다고 했고, 큰 문제는 아니고 눈충혈 안약 처방해주고 사용해본 후 일주일 이후에도 남아 있으면 다시 진료를 받으러 오라고 하더라구요. 저는 이렇게 과정을 거쳐서 일주일 이후에 점차 눈충혈 증상이 사라진 일이 있는데요.

안과를 가기 전에 이런 눈충혈 증상을 처음 겪어보기에 결막염같은 건 아닌가 걱정도 했는데, 아무래도 눈이 건조하니까 자꾸 비비고 만졌던 것이 원인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처럼 저의 경우에는 명확한 눈충혈이 없었고 다행히 일시적인 현상이었지만 누구나 다 같은 경우는 아니기 때문에 아래의 다양한 눈충혈 원인과 증상들을 살펴보시고 자세히 병원진단도 받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눈충혈 안약 사용과 진단 필요성

위와 같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가벼운 증상일 경우 눈을 쉬게 하고 자극을 피하고 시원한 물수건으로 눈찜질 등을 할 수도 있으며, 인공눈물을 사용해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점차 심해진다면 시간을 지체하지 마시고 즉시 안과를 방문하세요.

👇아래의 이미지는 참조 이미지일 뿐입니다. 무분별한 안약 사용보다는 병원 진료를 통해 의사의 지시와 처방에 따라서 눈충혈 안약 등을 사용하시는 것이 올바른 대처입니다. 사용 방법에 대해서도 꼭 전문의의 가이드를 받으세요.

눈충혈 원인과 안약, 눈충혈 됐을때 증상


눈충혈 예방방법

평소에 눈충혈 증상을 예방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해볼 수 있습니다.

  • 손을 자주 씻는다
  • 눈을 비비거나 직접 만지지 않는다
  • 화장품이나 콘택즈렌즈를 주의해서 사용한다
  •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한다
  • 자외선 차단 안경을 착용한다
  • 눈의 피로를 예방한다

🔖건강 카테고리 글 더보기👈

🔖번아웃 증후군 증상 테스트하기👈

댓글 남기기